노트북 SSD 확인하는 방법: 쉽고 빠른 3가지 방법 소개
현대 노트북에서 SSD는 빠른 속도와 높은 안정성으로 필수적인 부품이 되었습니다. 하지만, 과연 사용 중인 노트북에 SSD가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하는 방법을 알고 계신가요? 혹시라도 HDD를 사용하고 있다면 성능 향상을 위해 SSD로 교체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이 글에서는 노트북 SSD 확인 방법을 3가지 소개합니다.
목차
- Windows 운영체제 사용 방법
- 1.1 디스크 관리
- 1.2 시스템 정보
- 1.3 제조사 도구
- Mac 운영체제 사용 방법
- 2.1 정보 확인
- 2.2 저장공간 확인
- BIOS/UEFI 사용 방법
1. Windows 운영체제 사용 방법
1.1 디스크 관리
- 윈도우 키 + X 를 눌러 메뉴를 열고 "디스크 관리"를 선택합니다.
- 왼쪽 창에서 "디스크 드라이브"를 확인합니다.
- "SSD"라는 용어가 포함된 드라이브가 있다면 SSD가 장착된 것입니다.
1.2 시스템 정보
- 윈도우 키 + R 를 눌러 "실행" 창을 엽니다.
- "msinfo32"를 입력하고 Enter 키를 누릅니다.
- 왼쪽 메뉴에서 "시스템 요약"을 선택합니다.
- 오른쪽 창에서 "저장 장치" 항목을 확인합니다.
-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라는 용어가 포함된다면 SSD가 장착된 것입니다.
1.3 제조사 도구
많은 SSD 제조사는 자체 도구를 제공하여 SSD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합니다. 제조사 웹사이트에서 모델명을 검색하여 해당 도구를 다운로드하고 실행하면 SSD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Mac 운영체제 사용 방법
2.1 정보 확인
- 왼쪽 상단의 사과 로고를 클릭하고 "정보 보기"를 선택합니다.
- "시스템 보고서"를 선택합니다.
- 왼쪽 메뉴에서 "저장 장치"를 선택합니다.
- "인터페이스" 항목에서 "PCIe" 또는 "NVMe"가 표시된다면 SSD가 장착된 것입니다.
2.2 저장공간 확인
- Finder를 열고 "이동" 메뉴에서 "컴퓨터"를 선택합니다.
- 하드 드라이브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 "정보"를 선택합니다.
- "사용 가능" 용량이 크고 "사용 가능" 용량과 "총 용량" 차이가 작다면 SSD가 장착된 가능성이 높습니다.
3. BIOS/UEFI 사용 방법
주의: BIOS/UEFI 설정 변경은 시스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잘못된 설정 변경은 시스템 부팅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노트북을 다시 시작하고 BIOS/UEFI 설정에 진입합니다. (진입 방법은 노트북 모델마다 다를 수 있음)
- "저장 장치" 또는 "SATA 정보"와 같은 메뉴를 찾습니다.
- SSD 모델명이 포함된 드라이브가 있다면 SSD가 장착된 것입니다.
4. 추가 정보
- 일부 노트북은 HDD와 SSD를 함께 사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위 방법으로 확인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정확한 확인을 위해서는 제조사 문의 또는 전문가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외장 SSD를 사용하는 경우, 운영체제에서 별도로 인식될 수 있습니다. 외장 SSD 확인 방법은 위 방법과 다를 수 있으므로, 제조사 설명서를 참고하거나 인터넷 검색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5. 마무리
위에 소개된 방법들을 활용하여 노트북에 SSD가 장착되어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SSD가 장착되어 있지 않다면, 성능 향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Inform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트북 화면, 긁힘과 눈의 피로로부터 보호하세요! 노트북 화면보호필름 사용법 (0) | 2024.06.24 |
---|---|
레노버 노트북 USB 부팅 방법: 빠르고 쉬운 가이드 (0) | 2024.06.24 |
노트북으로 영화 감상하는 꿀팁: OTT 서비스 이용 가이드 (0) | 2024.06.23 |
삼성 갤럭시북 NT750 사용 설명서: 초보자를 위한 완벽 가이드 (0) | 2024.06.23 |
LG 그램 11세대 i5 노트북 사용 설명서: 숨겨진 기능까지 완벽 정복! (0) | 2024.06.23 |